수집된 불안정함의 틈
 
큐레이터 윤채원
 
 
현미경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는 것들을 확대하여 관찰하도록 도와주는 실험기구다. 그 동그란 렌즈 너머로 보이는 건 평소에 볼 수 없었던 것들의 세밀한 일부분이며 동시에 자신이 상상하지 못했던 이질적인 미지의 세계의 문을 열어주는 시작점이다. 그런 현미경의 기능과 형태는 이은경의 작업에서도 유사한 맥락으로 적용되고 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작가가 보여주는 건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이 아닌, 그녀 스스로 만들어낸 메시지라는 점일 것이다. 발랄해보이면서도 어딘가 손상되어 있는 그림은 그렇게 단순한 이미지에서 작품으로 전환된다.

이은경이 다루는 소재는 도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상업적이고 단편적인 이미지들이다. 순식간에 소모되고, 언제 어떻게 바스러질지 알 수 없는 이미지는 언뜻 보기엔 흠집하나없는 환벽한 상징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실제로는 허망할 정도로 쉽게 생성되고 사라지는 물거품 같은 도시의 허물이 그 본질이라고 볼 수 있다. 작가는 그럼 이미지들의 군상 속에서 표본을 재취하듯 부분을 떼어내어 캔버스 위에 올려놓는다. 캔버스가 갖고 있는 원형의 포맷은 작가에겐 현미경의 렌즈이자 표본접시로 기능하다. 미디어가 갖고 있는 일회성의 이미지들에서 추출된 파편들은 이렇게 작가의 현미경 안에서 재조명을 받게되고 마치 생물이 변이하듯 또다시 새로운 이미지를 재생산해낸다. 그 이미지는 다층의 레이어 안에 옮겨지는데, 이 표현 과정에서 작가는 현대의 물감과 제소가 아닌 에그템페라와 수제 제소라는 흔치 않은 매체를 택하는 행보를 보인다. 중세부터 쓰였던 에그 템페라와 석고가 섞인 수제 제소라는 재료둘다 탄성이 부족하고 충격에 약해 균열을 일으키기 쉽다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이 기능적 단점이 작가에겐 오히려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이미지를 더 효과적으로 보조해줄 수 있는 장점으로 돌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재료의 특성상 드러나게되는 보존하기 힘들고 쉽게 변하는 물질적인 물완전성은 작가가 생각해왔던 이미지의 연약함을 잘 살려내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희미해지고 사라져가는 소멸과정에 더 효과적인 연출을 더해주게 된다. 자칫 이미지를 훼손하는 것처럼 보인수도 있는 이 과정은 작가 개인만이 아닌 다수의 참여자가 다 같이 캔버스를 바닥에 놓고 돌리고, 다시 옮기게 하는 식으로 주체의 범위를 확장했던 작가의 지난 2011년도 퍼포먼스 작업들과 연결되고, 또한 겉 표면의 이미지와 무고나한 물감의 지층을 그 무대배경으로 택한 이유와도 맥을 같이 한다. 수집된 이미지들의 파편은 물감층과 융합되면서 대량 인쇄되는 구조에서 회화의 물리적 구조로 그 경계를 넓혀 나간다. 이는 실제로는 눈앞에 없으나 존재하는 것 같은 이미지의 환영, 그에 대한 해부학적인 분석을 시도하면서 동시에 그것이 본래 갖고 있었던 이미지의 고우의 유약함을 역설적으로 강조하게 된다. 이런 표면을 긁어 벗겨내는 표현과 과정은 환영이 만들어지느 과정과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며, 생성과 소멸의 틈을 벌려내여 관람자가 상상을 할 수 있는 여유분의 공간을 만들어낸다. 무언가가 사라져가는 과정의 시계바늘을 잠시 멈추고 그 안을 들여다본다면, 이 공간들은 현미경으로 보는 생물의 이면처럼 새로운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기성 이미지들의 조각들로 만들어진 새로운 이미지의 환영과 그 위에 끝없이 반복되어지는 ‘ 지워지는 과정’은 그 작품이 갖고 있는 다양한 시간대를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도 작가는 관람자가 직접 손으로 만져볼 수 있게 서용함으로써 공감각적인 여지를 남겨두고 있는데, 이런 상황의 설정이 이번에는 어떤 효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지 기대해 보아도 좋을 것 같다.